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현재 위치

Chia Chi Hason Wang

Serendipitous Encounter


Choi Young Wook and His Moon Jar Painting - by Chia Chi Jason Wang


Over the past seven years, the Korean painter Choi Young Wook (1964-) has consistently adopted the moon jar – a porcelain vessel in vogue among the general Korean public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1392-1910) – as the principal subject of his paintings, gradually gaining international attention. According to Choi’s own recollections, some time ago when he was still groping to find his own style and mode of expression, he chanced upon a Joseon-era moon jar in a museum while traveling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The sight aroused in him a sense of deja vu, as if he were experiencing something intimate yet unfamiliar. This serendipitous encounter spurred him to start painting white porcelain moon jars, and also to research and collect them.

In reality, long before moon jars began appearing in Choi Young Wook’s paintings, white porcelain was an important traditional artistic asset passed down from the Joseon dynasty, influencing and inspiring several well-known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artists. Modernist pioneer Kim Whan-ki (1913-1974), who excels at abstract art, is one of the more prominent examples. Veteran contemporary ceramicist Park Young-sook (1949-) directly carries on the tradition of Joseon white porcelain, having revived the style of moon jars and their firing techniques, which at one time had been lost. In recent years and particularly since 2006, well-known photographer Koo Bohn-chang (1953-) has also made white porcelain, especially moon jars, a major subject of his photos, exploring them as a possible form of contemporary artistic expression.

The rise of Joseon white porcelain was actually influenced by Ming-dynasty China. By the middle of the 15th century, it had developed its own distinctive ethnic spirit and aesthetic, and had even become the exclusive purview of the royal court.

According to scholarly texts, in the early 15th century, when the Joseon Dynasty was first being established as a Confucian kingdom, King Sejong (1397-1450) commanded that white porcelain replace the luxurious and exorbitant gold and silver implements the court had originally been accustomed to using. Thereafter, the king founded a royal kiln, dedicated to producing utensils for the “internal use” of the royal household, and commencing the “golden age of white porcelain.”1 From the late 15th century to the early 17th century, the Joseon royal court banned the use of white porcelain by all except royalty, and dignitaries from the Ming court. In 1616 the crown partially lifted the ban, permitting the gentry to use sang baekja (“common” white porcelain), a form of white porcelain rougher in quality than that used by royalty.

2 Current scholarship indicates that due to the strict class divisions of traditional Korean society, commoners were never officially allowed to use white porcelain even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and when they did, they did so privately and illicitly. Yet the very existence of this injunction reflects how broadly the beauty of white porcelain was coveted throughout Joseon society, regardless of a person’s social position. The scholar Cheng Chi-jen, a specialist in Joseon white porcelain, states concretely: “White porcelain was a product that reflected the aesthetic of Confucian political thought: the pursuit of cleanliness and purity, an emphasis on morality and a love of nature.”3Most of the white moon jars still extant from the Joseon dynasty may be dated to sometime in the 17th or 18th centuries and are likely to be of the “common” sang baekja variety, not the more refined ware exclusive to royalty. They thus reflect the tastes and ideals of the gentry, or even the hoi polloi. The mingei (“folk crafts”) movement of early twentieth-century Japan, which was influenced and inspired by Britain’s folk crafts movement, particularly appreciated white Joseon porcelain for its “lack of self-consciousness” and “the beauty of its slight imperfection.”4 These are expressed in the materials used to produce the moon jars – through defects in the clay and glaze – as well as their forms: Because the vessels are made by joining upper and lower sections, the center bulge of the jar where the two halves meet protrudes slightly, resulting in a shape that is never perfectly spherical, concretely manifesting the figurative truth that reality falls short of our ideals. Indeed, this state of imperfection or geometrical incompleteness reflects the most realistic and natural conditions of human life, just as the acclaimed Song-dynasty poet Su Dongpo famously wrote: How long will the full moon last?... Men have sorrow and joy; they part and meet again. The moon brightens and dims, waxes and wanes. Nothing has been perfect since the days of old.

The first Western arts specialist to notice and collect Joseon white porcelain was the British ceramicist Bernard Leach (1887-1979). At the time he was personally involved in Japan’s mingei movement. In 1935 he set off from Japan to visit Korea and purchased a moon jar in an antique shop in Seoul. Later, he brought it back to England, and his own work was influenced by its manufacture. For a period of more than 60 years, this work was passed from collector to collector, finally joining the permanent collection of the British Museum in 1999.5 Perhaps Leach’s attention and promotion encouraged some Western museums that collected East Asian art to take interest in moon jars. According to the British Museum’s exhibit information, only around 20 Joseon moon jars remain in the entire world. 6 In addition to the one currently at the British Museum, both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in New York and the Art Institute of Chicago hold one in their collections. Somewhat ironically but quite clearly, it was especially serendipitous that just when Choi Young Wook was struggling to find his personal artistic style, he chanced upon a moon jar at MOMA, far from the shores of Korea, and because of this encounter determined his creative path, setting off on the road to artistic maturity.

According to general understanding, white porcelain moon jars were originally used to store white rice, soy sauce or wine, and sometimes they served as flower vases.7As historical objects that embodied the Confucian ethics and aesthetics of the Joseon dynasty, Choi Young Wook saw in them the unpretentious beauty of the life of ordinary folk. In his artist’s statement “Images of Memories,” he described them thusly: “The moon-jar’s shape and color tones are unaffected and simple, and it is akin to ‘cheuk-eun-ji-shim (惻隱之心),’ a traditional reference meaning the natural sympathy or compassion that comes from the bottom of one’s heart.”8 One can see that in the moon jar, Choi Young Wook discovered an aesthetic of human relations that could be extended to the moral values of Confucianism.

In the real world, white porcelain changes over time: Weathered by history and life, caressed by human hands, bathed by water and rubbed by cloth for long years, its surface transforms and even becomes scuffed. The “whiteness” of its exterior takes on a completely different quality from its original whiteness when fresh from the kiln.

Permeated with the scars of life, the crackled glaze on the exterior of the moon jar often increases in the complexity of its fractured patterns, yielding an intermingling of the new with the old. Choi extends the moon jar’s many minute changes wrought by time to signify the universal life memories that humanity collectively shares. The crackled patterns of the glaze thus become a symbol of the mutual connections of fate, which he encompasses under the term “karma.” Choi himself writes: The Work ‘Karma’ has a focal meaning in the drawing of lines. The lines are not realistic representations of hairline cracks on the surface of porcelains.

They are the paths upon our life journey. Those lines I depict continue yet split, they meet again at some point, and separate: we are alike yet arguably different, and we can be unified into one despite these differences.9 Thus, through the brush of Choi Young Wook, the moon jar and its dense, intricate crackled patterns are transformed with rich sensuality into a vehicle for metaphorical images of life or the twists of fate. While Joseon moon jars, the only visual image in his paintings, give the viewer the impression of photorealistic reproduction, Choi is actually intent upon transcending mere imitation. Starting from the foundation of his training in Western oil painting, he has incorporated materials and styles from traditional East Asian painting, to express in minute detail the special qualities of a moon jar’s glaze and crackled fissures. To render the form of the moon jar on the canvas, he applies a specially mixed resin in multiple layers, quite reminiscent of the techniques and concepts of traditional Chinese lacquering, achieving a realistic, semi-transparent, glossy effect.

Simultaneously, within this glaze that is smooth yet possesses thickness, he allows the viewer to gaze and muse upon the lines of fate, either distinct or implicit, that he has painstakingly woven with meticulous brushstrokes. But he does not stop there: In many of the works completed with these techniques, images of landscapes shrouded in clouds or dense smoke can also often be glimpsed, vaguely yet undeniably, on the glazed faces of the vessel, stirring thoughts of ancient times.

Choi’s repeated application of a specially prepared glaze to his paintings evokes associations with the well-known contemporary American artists Jasper Johns (1930-) and Brice Marden (1938-), who applied wax to some of their early paintings. According to the records of the ancient Romans, encaustic painting, which employed beeswax as a medium, got its start in ancient Greece and enjoyed popularity throughout the Hellenistic and Roman eras. The best known ancient encaustic paintings remaining today are mummy portraits painted on wooden slats. Johns is known as an innovative contemporary revivalist of encaustic painting, which Marden continued and developed, and afterward it became a common technique of contemporary art. The younger Spanish contemporary artist Jose Maria Cano (1959-), for example, is one master of encaustic techniques. In encausting painting, wax and pigment are melted together into a single liquid that, when applied, gives the picture the quality of being coated in a layer, as if it is a sealed-up, objectified specimen.

Even if they do not use wax, many artists apply synthetic resin, spraying it on canvases or the surfaces of printed images, achieving a readily visible thickness or sense of protrusion. The application of this technique creates a visual sense of distance. The painting or painted object itself seems to be crystallized or frozen, invoking in the viewer a psychological sense of suffocation, asphyxiation, or even death.

While many Western contemporary artists have employed the material physicality of wax or synthetic resins to highlight the crisis of the materialization of values brought about by Western industrial capitalism, Choi Young Wook’s intention is to call for a return to humanistic values and respect for nature, history and tradition. Put concretely, while Choi uses resin similarly, building up multiple layers to attain a certain thickness and simulate the texture of the transparent glazed surface of white porcelain, both the visual and psychological effects are clearly different. Whether or not he is aware of it himself, the white porcelain glazed surfaces that appear in his paintings manifest a warm sense of breathability and emit their own aureolas, just like the moon for which they are named. What is essential to notice are the comparative sizes of actual moon jars and Choi’s painted images – while the diameters at the center bulges of most extant jars generally range between 30 and 40 centimeters, the vast majority of Choi’s paintings are much larger in scale. Perhaps because of this theatrical act of magnification, the viewer may readily infer that in his forms and strategies Choi has appropriated the legacy of the American photorealism movement of the late 1960s and early 1970s. This, however, is merely a superficial coincidence;; Choi’s artistic spirit and aesthetic pursuits are in fact completely different.

American photorealism relied principally on photographs, enlarging the images as paintings, and thus underscoring the camera lens’s special mechanistic – even distortive – effect. At the same time, because these paintings greatly magnified the details in photos, retaining even the tiniest feature, this produced an effect of homogenization and flattening that made the works feel cold and distant. In this way the artists dramatically conveyed or reflected the alienation and aloofness common in modern capitalist society. But Choi’s desires are obviously different, his objectives completely opposite. When reproducing the form of the moon jar, he has perhaps benefited from the aid of photography; nonetheless, his intention is not to produce cold severity, nor to convey the alienation and distance of modernity. When it comes to the imitation of the moon jar’s external form, his works at first blush genuinely do have the visual effect of photorealism, yet when the viewer begins to pay attention to the minute cracks depicted in fine brushwork, it is not hard to discover that these are completely his own original abstract expression. In the context of subjective grasp and the complex convergence of conscious, subconscious and unconscious, the cracked lines of the moon jar provide more than a verisimilitude of the artist’s “perception of the object”; in reality, they are personal images of his own creating. What he pursues is the spirit of nature informed by his individual mental landscape. What he pursues is the profundity of life. What he hopes to do is seek a place where he may humbly stand on his own within an eternal time and space, and also to build a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the world. Following a similar line of thought, the Korean artist Yoon Jin-sup finds in Choi Young Wook’s painting a form of discipline identical to the aesthetic perspective of the well-known dansaekhwa (“monochrome painting”) movement of the 1970s and 1980s.10 Certainly, Choi Young Wook’s ultimate objective is not to depict any specific, material jar of white porcelain in the real world, or to engage in the reproduction of images, even though his technique renders his subject matter strikingly lifelike. He may select a specific vessel as a subject for replication, in order to grasp the form of the jar and the semi-transparent layered effect of the glaze, or its crackled fissures. Yet as he has honed his technique over the course of seven years, becoming ever more refined, and in particular as he has integrated East Asian tradition with the expressive methods of Western modern painting, the Joseon moon jar has evolved under the brush of Choi Young Wook beyond a reflection or recreation of a single “particular” and has been sublimated as a study or creation of the universal.

Choi Young Wook confidently defines his works as images of his memories and the story of his own life. 11 Because of the serendipitous encounter caused by “karma,” white porcelain moon jars have become the subject of his deep musing, and the vehicle through which he paints the “images of his recollections.” By borrowing an object, he has glimpsed the heart. Choi has not only grasped the traditional Confucian aesthetic embodied in the moon jar, but also deliberately and actively bestowed on it a new symbolic significance. In the language of Buddhism, “karma” is a concept related to the cycle of cause and effect, a belief in the transmigration of the soul and a recognition that past lives, this life and the lives to come all evolve from karmic causes and from fate, which no person may elude. In his artworks, the road of life with its countless, confusing side paths has became a journey of destiny in which the self is inseparable from others. Perhaps fate has no pessimistic implications.

Understood from a different angle, if we were to transform the concept of “karma” into the experience of the contemporary predicament of “globalization,” perhaps it would no longer be so mysterious and impenetrable. Ultimately, the many ecological crises imperiling our survival which we face in the age of globalization are the accretion of humanity’s collective past, and the fate we all must shoulder together.

They are our karmic legacy, and our karmic connection. Put more precisely, within this “universal” of the white porcelain moon jar, Choi Young Wook slowly, patiently depicts one image after another with the unique individual life philosophy and vision of an artist, and while the traces of each image seem discernible, in fact it is impossible to map the trajectory of its life in advance. Among the interweaving crackled seams, the viewer clearly sees a network of lines that form a plane, as if the atlas of a person’s fate, or a portrait of the complexities of an interpersonal relationship, or a microcosm of the human condition in the age of globalization. Here, metaphorically transformed by the artist, the white moon jars become vessels of life. The predestination and open-endedness of life, the possibilities and impossibilities, enter the viewer’s eyes, half-hidden yet manifest, as a patterned form like an abstract code, testing our ability to glimpse invisible spirit and wisdom.

1 Cheng Chi-jen, “A Study of Joseon White Porcelain,” (Chinese language) Studies of Ancient History and Culture, vol. 5 (Hua-Mu-Lan Culture Publishing Company, 2011), p. 17-18

2 Ibid., p. 58, 61

3 Ibid., p. 77

4 J. Portal, Korea - art and archaeology (London, The British Museum Press, 2000). See the official website of the British Museum:http://www.britishmuseum.org/explore/highlights/highlight_objects/asia/w/white_porcelain_moon_jar.aspx

5 Ibid.

6 See the official website of the British Museum:http://www.britishmuseum.org/about_us/news_and_press/press_releases/2007/the_korean_moon_jar.aspx

7 Ibid.

8 Choi Young Wook, “Images of Memories,” in Karma: Choi Young Wook (Seoul: Gallery SUN contemporary, 2012), p. 8

9 Ibid.

10 Jin Sup Yoon, “The Image of the Moon-Jar as the Epitome of Life,” in Karma: Choi Young Wook, p. 4: “Choi Young Wook’s behavior in painting is synonymous to the concept of cultivating or discipline—something that is seen in many of Korean Monochrome Painting (Dansaekhwa) artists.” One of the most renowned artists of the dansaekhwa movement was Li U fan (1936-). Because he studied abroad in Japan early in his career, he was also one of the leading figures of Japan’s mono-ha (“School of Things”) movement, which shared stylistic similarities with European and North American minimalism.

11 Choi Young Wook, “Images of Memories,” p. 8. “As a result, the images I portrayed are the recollections and stories of my life. I am unfolding the stories of my life through my work.







인연



최영욱 작가의 달 항아리 작품에 관해 - Chia Chi Jason Wang

지난 7년간, 최영욱(1964-) 작가는 조선시대(1392-1910) 대표적 도자기인 달항아리를 작품의 핵심 소재로 삼아 활동하면서 국제적인 주목을 얻기에 이르렀다. 최 작가 본인은 오래 전 자신만의 작품 스타일과 표현 기법을 찾아 골몰하던 시절, 유럽과 미국 여행 중에 박물관에서 우연히 조선시대 백자를 마주하게 되었다고 회고한다. 당시 그는 뭔가 매우 친근하면서도 새로운 느낌의 데자뷰를 경험했다고 한다. 그는 이 우연한 만남을 통해 백자 달항아리를 그리기 시작하였고, 이것을 수집하고 연구하였다.

사실, 최영욱 작가가 달항아리를 그리기 훨씬 이전부터 백자는 조선시대부터 이어져 온 중요한 예술적 자산으로서 다수의 한국 근대 및 현대 작가들에게 영감을 주는 소재가 되곤 했다. 한국 현대미술의 선구자로서 특히 추상화 분야의 대가인 김환기(1913-1974)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현대 도예가 박영숙(1949-)은 조선시대 백자의 전통에 기반하여 한 때 잊혀졌던 달 항아리 제작기법을 되살려 내었다. 근래 들어 특히 2006년, 사진작가 구본창(1953-) 역시 백자, 그 중에서도 특히 달항아리를 작품의 주요 소재로 삼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 있다.

본래 백자는 중국 명나라에서 전해진 것이나 15세기 중반에 이르러서는 조선 백자 고유의 멋과 아름다움을 지니게 되었고, 왕실에서도 백자의 아름다움을 인정하기에 이르렀다. 사료에 따르면 15세기 초, 조선왕조가 유교에 뿌리를 내리며 기강을 잡아가던 시절, 세종대왕(1937-1450)의 명에 의해 그 때까지 왕실에서 사용하던 화려한 금, 은 식기류가 모두 백자로 대체되었다. 그 후, 왕실에서는 관요(官窯)를 설립하고 왕실 전용 백자를 생산하게 함으로써 “백자의 황금기”를 열게 된다. 그 후 15세기 후반부터 17세기 초에 이르기까지 조선 왕실에서는 왕실과 명나라 사신 외에는 백자의 사용을 금지시켰다. 그러던 1616년, 조선왕실에서는 이 금지령을 일부 해제시키고 왕실 백자에 비해 투박하고 세련미가 떨어지는 상백자를 양반가에서 사용할 수 있게 허가하였다. 현대 역사가들에 의하면 조선시대의 엄격한 신분제에 의해 조선말기까지도 평민들은 백자 사용이 금지되어서, 백자를 소유한 가정에서는 이를 몰래 사용했다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금지 명령이 있었다는 사실은, 신분 고하를 막론하고 조선백자가 얼마나 인기 있었는지 말해주는 반증이기도 하다. 조선백자 연구로 유명한 成耆仁은 “순결함과 정갈함, 도덕성과 자연을 사랑하는 마음을 표현한 백자는 유교적 정치사상을 미적으로 구현한 산물이다”라고 말한 바 있다.

지금까지 남아 있는 조선시대 달 항아리는 대부분 17, 18세기의 것으로서 왕실 백자가 아닌 상백자인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이들 달 항아리는 양반, 그리고 일부 평민들의 취향과 사상을 반영한다 하겠다. 영국 공예운동의 영향을 받아 20세기 초 발생한 일본의 민예운동가들은 “ 소박함”과 “투박한 아름다움”을 들어 조선백자를 높이 샀다. 이러한 특징은 달항아리의 재료(흙과 유약)와 형태에서도 나타난다. 달항아리는 윗 부분과 아랫부분의 두 반구를 합쳐 제작하는 형식이기 때문에, 위 아래가 만나는 부분이 약간 튀어나오기 마련이고 결코 완벽한 구(求)를 형성하지 못한다. 이러한 달항아리의 형태는 현실은 결코 이상에 미치지 못한다는 사실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듯하다. 그러나 이러한 불완전함, 기하학적 미완은 오히려 우리 인생사를 가장 자연스럽고 현실적으로 보여준다 하겠다. 이는 송나라 시인 소동파(蘇東坡)가 “밝은 달은 언제부터였던가?... 인간에게는 슬픔과 기쁨, 만남과 헤어짐이 있고 달에게는 밝음과 어두움, 차고 기욺이 있으니 옛부터 완전한 것은 없도다“라고 노래한 것과도 일맥 상통한다.

서양 예술가 중 최초로 조선백자에 주목하고 이를 수집하기 시작한 이는 일본 민예운동에도 관여했던 영국 도예가 버나드 리치(Bernard Leach, 1887-1979)였다. 1935년, 일본을 떠나 조선을 방문한 그는 서울의 한 골동품상에서 백자를 구입하여 영국으로 가져갔고, 이후 백자의 영향을 받은 작품들을 제작한다. 그가 구입한 백자는 이후 60여 년간 여러 주인을 거쳐 1999년, 대영박물관에 소장되기에 이른다. 리치의 영향으로, 동양 예술품을 수집하던 일부 서구 미술관들이 백자에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한 것인지도 모른다. 대영박물관 자료에 의하면, 현재 전 세계에 남아 있는 조선시대 달 항아리는 20여 점에 불과하다. 현재 대영박물관이 소장한 것 외에도, 뉴욕의 메트로폴리탄 미술관과 시카고 아트 인스티튜트에 각각 한 점씩 소장되어 있다. 자신만의 예술세계를 찾기 위해 번민하던 최영욱 작가가 한국에서 지구 반 바퀴를 돌아 뉴욕 현대미술관(MOMA)에서 달항아리와 조우한 것은 어찌 보면 우연일 수도 있으나, 그는 이 만남을 계기로 새로운 창작의 길로 접어들며 예술적 성숙미를 더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백자 달항아리는 쌀이나 간장, 술 등을 저장하는 데 사용되었고, 때로는 화병 역할도 했다. 최영욱 작가는 유교사상과 조선시대의 미적 감각을 구체화한 역사적 유물로서의 달항아리 속에서 평민들의 삶에서 배어 나오는 꾸미지 않은 아름다움을 보았다. 그는 작가노트 “기억의 이미지”에서 “달항아리의 꾸밈없이 단순한 모습과 색감은 우리 마음 밑바닥의 측은지심(惻隱之心) 같다”고 말한다. 최영욱 작가는 달항아리에서 유교의 도덕적 가치로 승화될 수 있는 인간관계 속의 아름다움을 발견했던 것이다.

백자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변한다. 사람의 손길과 물이 닿고,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쓸고 닦으면서 표면에도 미세한 변화가 생기기 마련이다. 백자 표면의 흰 색상도 가마에서 갓 구워져 나왔을 때의 흰 색과는 많이 달라진다. 이렇듯 인생의 상처를 고스란히 안은 백자 표면의 빙열은 옛 것과 새 것이 교차되면서 점점 더 복잡해진다. 최 작가는 백자 표면에 나타난 세월의 흔적을 인간 보편의 삶의 기억으로 승화시켰다. 그의 작품에서 도자기 표면의 균열은 우리네 운명을 잇는 상징으로 나타난다. 그는 이것을 업(業, Karma)으로 표현하며 다음과 같이 썼다.

“작품 ‘카르마’는 선들에 그 핵심 의미가 있다. 이 선들은 실제 도자기 표면의 균열들을 그대로 그린 것이 아니다. 도자기의 선은 인생의 여러 길 같다. 갈라지면서 이어지고 비슷한 듯하면서 다르고 다른 듯 하면서 하나로 아우러진다. 우리 인생 역시 비슷하나 많이 다르고 서로 많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하나가 된다.”

최 작가의 붓끝에서 탄생한 달항아리의 표면의 촘촘한 빙열은 우리의 삶과 복잡하게 얽힌 운명을 표현하는 수단이 된다. 그의 작품에 등장하는 조선 달항아리는 마치 사진 같은 사실감을 주지만, 최영욱 작가는 단순한 사실적 묘사에 치우치지 않는다. 서양화를 전공한 그는 회화의 토대 위에 동양화의 재료와 화풍을 도입하여 달 항아리의 광택과 균열을 세심하게 묘사하고자 했다. 캔버스 위에 달항아리를 담기 위해 그는 직접 제작한 도료를 여러 겹 입히는 작업을 거치는데, 이는 매우 사실적인 반투명 광택을 내는 중국의 전통 옻칠 기법과도 닮았다. 매끄러우면서도 두께가 있는 이러한 광택 위에, 그는 섬세하고 치밀한 작업을 통해 선명하면서도 불확실한 운명의 선들을 표현해 낸다. 그러나 그의 작업은 여기서 멈추지 않는다. 이러한 기법으로 완성된 도자기의 표면에 때로는 구름이나 짙은 연기에 싸인 풍경이 희미하게 그러나 분명히 비춰져, 보는 이로 하여금 옛 생각을 불러 일으킨다.

캔버스 위에 특수 도료를 여러 차례 덧칠하는 최영욱 작가의 기법은 작품에 왁스를 입히기도 했던 미국의 유명 현대 화가 재스퍼 존스(Jasper Johns, 1930-)나 브라이스 마덴(Brice Marden,1938-)을 연상시킨다. 고대 로마의 기록에 의하면 밀랍을 이용한 납화는 고대 그리스 시대에 시작되어 헬레니즘 시대와 로마제국 시대에 인기를 누렸다. 오늘날까지 남아있는 고대 납화의 대표적 예로는 목판에 그린 미라의 초상이 있다. 존스는 현대 회화에 고대 납화 기법을 도입하는데 선구자적 역할을 했고, 마덴이 그 뒤를 이어 더욱 발전시켜 후대의 현대 화가들에게는 널리 알려진 테크닉으로 정립되었다.

가령, 이들보다 더 젊은 세대인 스페인 화가 호세 마리아 카노(Jose Maria Cano, 1959-)는 납화 기법의 대가로 일컬어진다. 납화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밀랍과 안료를 함께 녹여 액체 상태로 만든 후 사용하는데, 이것을 칠하면 마치 밀봉된 상태로 코팅된 듯한 효과를 불러온다. 많은 화가들은 밀랍 외에 합성수지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것을 캔버스나 인쇄된 이미지 위에 뿌리면 돌출된 느낌을 주면서 두께와 입체감이 살아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기법은 시각적으로 원근감을 주기도 한다. 이러한 기법으로 그려진 물체는 얼어붙거나 결정화된 느낌을 주어 보는 이로 하여금 숨막힘과 질식, 심지어 죽음을 느끼게도 한다.

많은 서양화가들이 서양의 산업 자본사회가 불러온 물질 만능주의적 위기를 부각시키기 위해 밀랍이나 합성수지라는 소재를 차용한 반면, 최영욱 작가는 인본주의적 가치로의 회귀, 자연과 역사, 전통에 대한 경외를 표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 소재를 사용하고 있다. 최 작가는 앞서 말한 서양화가들과 비슷한 방식으로 여러 겹의 수지를 덧칠함으로써 백자 표면의 광택과 입체감을 표현하고 있으나, 그의 작품이 주는 시각적, 심리적 효과는 전혀 다르게 표출된다. 그 자신이 그것을 인식하고 있는지는 알 수 없으나, 그의 작품에 나타나는 백자의 표면은 따뜻한 호흡의 느낌, 마치 달빛이 내뿜는 후광을 보는 듯한 느낌을 준다. 특히 최영욱 작가의 작품에서 주목할 것은 실제 달항아리의 크기와 비교되는 그의 작품 규모이다. 현존하는 대부분의 조선시대 달항아리는 중간의 가장 넓은 부위 둘레가 30에서 40 센티미터에 불과하나, 최영욱 화백의 작품은 그보다 훨씬 크다. 이처럼 실물을 과장되게 확대한 그의 작품은 1960년대 말에서 1970년대 초 미국의 포토리얼리즘을 연상시키기도 한다. 그러나 이것은 표면적 우연일 뿐 최 작가가 추구하는 예술세계는 전혀 다른 것이다.

주로 사진을 확대하여 사용한 미국의 포토리얼리즘은 카메라 렌즈의 특별한 효과(왜곡된 효과까지도) 적극적으로 이용한 면이 적지 않다. 그와 동시에 이 작품들은 사진의 디테일을 아주 작은 부분까지도 그대로 살려 크게 확대하였기 때문에 일률적이고 단조로운 효과를 불러와 보는 이로 하여금 차갑고 먼 느낌을 준다. 작가들은 이러한 방법을 통해 현대 자본사회에 만연한 소외감과 무관심을 극적으로 표현했다. 그러나 최영욱 작가가 추구하는 바는 전혀 다르다. 그는 달 항아리를 캔버스에 재현하면서 어쩌면 사진기법의 효과를 약간은 보았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의 의도는 현대 사회의 소외나 차가운 단절을 표현하고자 함이 아니다. 달항아리의 표면을 있는 그대로 묘사한 그의 작품을 마주한 첫 느낌은 포토리얼리즘이 주는 시각적 효과와 유사할지 모르나, 섬세한 붓질로 완성된 도자기 표면의 균열 하나 하나에 주의를 기울이다 보면 이것이 작가 고유의 추상적 표현이라는 것을 깨닫기 까지는 오래 걸리지 않는다. 주관적인 개념의 파악, 그리고 의식과 무의식, 잠재의식의 복잡한 수렴 속에서 달항아리의 빙열은 작가의 “객체에 대한 인식”을 초월한 그 무언가를 전달한다. 실제로 그것들은 작가 자신이 창조해 낸 개인적 이미지들이다. 그가 추구하는 것은 그의 정신세계 속에 형성된 자연, 생명의 심오함을 표현하는 것이다. 그는 영겁의 시공 속에 그 스스로 겸허히 설 수 있는 공간을 찾고 있으며, 그와 동시에 타인과의 관계를 형성하고자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평론가 윤진섭은 최영욱 작가의 작품에서 1970년대와 1980년대 유명했던 단색화 운동에서 볼 수 있는 화풍과 미적 관점을 찾아볼 수 있다 말한다.

물론 그러하다. 최영욱 작가가 작품의 소재를 놀랄 만큼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있기는 하나, 그의 궁극적인 목적은 도자기를 있는 그대로 그려내거나 있는 이미지를 그대로 재생산하는 것이 아니다. 그가 작품을 제작함에 있어 어떤 특정한 도자기 항아리를 모델로 삼아, 그 형태나 표면의 반투명한 질감을 재현할 수는 있다. 그러나 그는 지난 7년간 테크닉을 연마하면서 날로 정교하게 발전시켜 왔고, 특히 동양화 기법을 서양화에 접목시키면서 최영욱 작가의 붓 끝에서 탄생한 달 항아리는 어떤 특정 도자기 한 점의 재현이 아닌, 보편의 이미지로 승화되는 것이다.

최영욱 작가는 그의 작품들이 추억의 이미지이자 자신의 삶의 이야기라 자신 있게 말한다. “카르마”에 의해 그와 우연히 조우하게 된 달항아리는 이제 그에겐 깊은 명상의 대상이자 그가 자신의 “회상의 이미지”를 전달하는 매개체가 되었다. 그는 객체를 차용함으로써 핵심을 바라볼 수 있었다. 최 작가는 달 항아리에 구현된 전통적인 유교의 미를 발견했을 뿐만 아니라 그것에 새로운 의미와 상징을 부여했다. 불교 용어에서 ‘카르마’란 인과응보의 순환을 가리키는 개념으로서 인간의 전생과 현생, 그리고 앞으로 다가올 미래의 모든 삶이 업(業)과 운명의 고리 속에서 윤회하며, 여기에서 자유로운 인간은 아무도 없다고 믿는다. 그의 작품에서 셀 수 없이 많고 복잡한 곁가지를 지닌 인생의 길은 나와 타인의 분리가 불가능한 운명의 여로가 된다. 여기서 운명이란 말에 비관적 함의는 없다. 다른 각도에서 이해한다면, 가령, “카르마”의 개념을 현대의 “세계화(globalization)”의 경험으로 변환시킨다면 이것은 더 이상 신비스럽거나 불가해하지 않을 것이다. 궁극적으로 세계화의 시대에 우리의 생존을 위협하는 여러 가지 생태적 위기들은 인류가 총체적으로 축적한 과거의 산물이며 우리 모두가 함께 견뎌내야 할 운명인 것이다. 그것은 우리들의 업보이자 우리들의 연이다.

보다 정확히 말하자면, 이 하얀 백자 달항아리의 “보편성” 속에 화가 최영욱은 느리게, 그러나 참을성 있게 예술가로서의 독특한 인생철학과 비전을 묘사하고 있다. 그리고 각각의 이미지의 흔적은 구분할 수 있는 것처럼 보일지라도 그것의 삶의 궤적을 미리 그려보는 것은 불가능하다. 복잡하게 얽힌 균열 속에서 우리는 누군가의 운명, 혹은 인간 관계, 혹은 소우주로서의 인간을 보게 된다. 작가에 의해 은유적으로 변형된 하얀 달항아리는 인생을 담는 그릇이 되는 것이다. 미리 정해진 하면서도 결말을 모르는 우리의 삶, 가능성과 불가능성, 이 모든 것이 절반쯤 감춰진 듯 그러나 또렷하게 보는 이에게 추상적 암호처럼 다가와, 우리가 과연 그 보이지 않는 정신과 지혜를 포착할 수 있는지 시험하고 있다.



번역 김미영(Kim Mee Young)